전농답십리뉴타운 기본개요
1.뉴타운사업의 기본개념
새로운 기성시가지 개발방식으로 동일생활권을 대상으로 난개발 방지를 위한 개발임
공공부문 : 종합개발계획 수립 및 기반시설 확보 민간부문 : APT등 건축사업추진
종전 재개발정비사업과 비교
소규모단위 재개발 사업 → 광역단위(생활권) 계획적 개발 민간의존 기반시설 확보 → 공공부문 역할증대(시 예산 투자) 주택재개발 방식의존 → 다양한 도시개발 방식 활용
2.뉴타운 사업의 필요성
민간위주의 개발로 악화되고 있는 서울의 도시환경 및 주거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기반시설의 절대부족 → 도시환경 악화
소규모단위 민간위주로 시행되어 수익성과 사업추진 편의성만을 기초로 추진됨으로써 도로, 공원, 학교부지 등 도시기반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함
기반시설 확보에 대한 공공부문의 역할 증대
종합개발계획수립 및 기반시설 확보
기존 재개발 방식 → 종합적, 체계적 도시개발곤란
각종 도시개발방식혼용 → 효율적, 체계적 개발유도
원거주민이 재정착 할 수 있는 재개발 → 다양한 소득계층, 세대가 더불어 사는 재개발 유인
원거주민 재정착률('98이후 평균 46.4%)
3.뉴타운개발 사업유형
주거중심형 뉴타운
노후불량 주거 밀집지역 중심 → 인근생활권 지역을 포함한 전체 도시기반 구조를 개선하는 사업
도심형 뉴타운
도심 또는 인근지역에 주거, 상업, 업무기능 등을 복합개발하는 사업
신시가지형 뉴타운
대규모 미(저)개발지 등을 대상으로 주거, 상업, 생태, 문화기능 등을 갖춘 신시가지를 조성하는 사업
4.뉴타운 사업의 기본원칙
백년대계의 도시개발이 될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기본원칙들을 공통적으로 견지해 나갈 것임
도시기본계획, 재개발기본계획, 도심부관리 기본계획 등 상위 계획 및 관련 도시계획 및 개발사업과의 철저한 연계추진 강북지역 특성을 철저히 고려한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 충분하고 또 미래형의 도시기반시설 확보 (도로, 녹지, 학교부지, 보행공간, 폐기물처리, 에너지시스템등) 교통유발요인 최소화 설계 토지이용 및 공공시설의 복합화 개발 다양한 소득계층 및 세대가 더불어 사는 공간조성 (임대주택의 다양화, 원거주민 재정착 제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