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10구역, 17년만의 재개발 정비계획 통과
신통기획으로 1년6개월만의 재개발 정상화 안착

17년간 재개발이 지체됐던 신당10구역이 신속통합기획을 도입한지 불과 1년 6개월 만에 정비계획을 통과했다. 지난 20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등 특별분과(수권) 소위원회 개최 결과 중구 신당10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 정비계획안이 수정 가결됐다.
신당10구역은 지난 2006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장기간 사업이 정체됐고 2015년 정비구역이 해제되기도 했다. 신당10구역은 동대문 상권의 배후주거지로, 트리플(3중) 역세권과 광희문 성곽 역사자원에 연접한 우수한 입지여건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낙후된 지역으로 인식돼왔다.
이후 2021년 8월 신속통합기획 대상지로 선정되며 사업이 물꼬를 트기 시작했다. 서울시와 중구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사업이 빠른 속도로 진행됐고 주민동의가 어려운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신속통합기획 대상지로 선정된 지 1년 6개월만에 정비계획이 확정된 것.
금번에 신당10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구역 정비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이 지역 일대가 ‘역사·문화·산업이 공존하는 녹지생태도심 주거단지(64,000㎡, 35층, 297%, 1400세대 규모)’로 거듭나게 된다.
신당10구역은 도심권의 대표 주거단지로서 4가지 계획원칙을 담았다. ▲인접 저층 주거지와 조화를 이루는 경관 및 외부공간 계획 ▲다양한 도시기능과 기존 가로의 특성을 고려한 동선 ▲광희문, DDP와 연계한 녹지생태공간 조성 ▲역세권의 입지적 특성을 살린 복합주거계획이다.
먼저, 인접 저층주거지와의 관계를 고려한 단계적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저층부에 포켓(작은) 공원 및 커뮤니티 공간 조성해 열린단지로 계획했다. 기존의 저층 주거지가 35층 규모의 스카이라인(2종일반주거→3종일반주거)으로 변화함에 따라 주변과 연계되는 시각통로를 확보함은 물론 저층부에 단지 내 포켓 공원과 작은도서관, 지역공동체 지원센터 등을 배치함으로써 주변 저층주거지에 부족한 녹지 및 생활편의시설을 지원한다.
둘째, 동대문 패션타운을 지원하는 봉제산업, 신당동 떡볶이 골목과 연결되는 동선계획으로 기존 상업가로를 활성화했다. 신당10구역은 주택뿐만 아니라 산업 및 상업 기능이 상당부분 혼재되어 있으며, 과거 이로 인해 재개발 추진을 위한 주민합의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 계획에는 기존 상업가로 유지를 위한 연도형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하고, 공공기여로 공공임대산업시설을 계획해 동대문 패션타운과 산업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는 영세소상공인의 재정착을 유도한다.
셋째, 서울성곽, 광희문,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 등 역사문화 자원을 누릴 수 있는 전시시설·박물관 및 역사공원(6,100㎡)도 들어선다. 역사공원은 광희문부터 DDP까지 지역 일대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서울시민의 명소로 거듭날 예정이다.
넷째, 신당10구역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신당역, 청구역과 도보로 5분 내 이동 가능한 트리플 역세권 지역으로, 도심형 주거로서의 입지적 강점을 지닌 지역이다. 기획안에 따르면 신당역 주변으로 저층부에 상업·산업 지원기능, 고층부에 소형주택을 융·복합적으로 계획해 청년층과 도심 직장인을 위한 활력 있는 도심 주거지로 조성할 계획이다.